[+6] 제품팀과 실무 프로세스

    🚩오늘의 키워드

    - 새로운 팀원과 새로운 한 주의 시작

    - UXUI 입문 강의 3, 4주차 수강

     

     

     

     

    😶TODAY I LEARNED

    [UXUI입문 - 3주차]

    ① 제품팀 - 제품을 만들기 위해 각자 다른 전문적인 능력을 갖춘 사람들이 모인 팀.

         → 구성의 최소 조건, 1명의 제품 관리자(PO/PM) / 1명의 디자이너 / 2명의 엔지니어

         → 회사에 따라 데이터 애널리스트, 마케터, BO(Business Operator) 등이 포함

    더보기

    · 목적 조직(스쿼드/사일로) -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직무의 사람들이 모인 팀.

         → 예) 핀테크 회사의 경우 도메인 별로 대출, 카드, 예/적금 팀

         → 일반적인 제품팀은 목적 조직을 의미.

         → 속도가 빠르고 효율적

     

    · 기능 조직(챕터) - 유사한 직무끼리 구성된 팀

         → 예) 기획팀, 디자인팀, 개발팀

         → 전문 분야에 대해 깊게 논의하고 서로의 발전을 도울 수 있음.

     

    · 매트릭스 조직 - 기능 조직과 목적 조직이 교차된 형태로 소속된 구성.

         → 예)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기능 조직인 디자인팀이면서 목적 조직인 스쿼드에 속함.

         → 많은 스타트업이 이용하는 방식, 최대 16명을 넘지 않는 것을 추천.

    ② 제품팀이 일하는 방식· 린스타트업 - 빠르게 제품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다시 제품에 반영하는 운영 방식.

         → 불확실성이 높은 스타트업에서 제품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고안

         → 적은 리소스로 제품을 만든 후 빠르게 시장에 검증해 가며 기능을 고도화해 나가는 방법

         → '만들기 > 측정 > 학습'을 반복하며 피드백을 받고 사용자 중심으로 제품을 만드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

     

    · 애자일 - 일정한 주기로 빠르게 제품을 배포해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고 요구사항을 수정해 나가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

         → 1~4주의 스프린트 단위로 제품을 개발, 테스트하고 피드백을 받아 개선해 나감.

    스프린트 집중해서 여러 태스크를 완료하는 1~4주 정도의 짧은 기간
    스크럼 1~4주 단위의 스프린트 안에서 목표를 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제품을 개발하는 방식.
    설정한 목표에 따라 요구사항 설계 → 디자인 → 개발 → 테스트 → 배포의 과정으로 제품을 개발하는 애자일 방법론의 하나
    이터레이션 짧은 주기로 스프린트를 이어 나가는 것

     


     

    ③ 디자인 프로세스 - 기획 > 디자인 > 개발로 진행

         → 기획 단계 : 문제 정의 > 아이데이션 > 프로덕트 스펙 문서 작성

         → 디자인 단계 : 초안 디자인 > 피드백 > 최종 디자인 확정 및 핸드오프

         → 개발 : 디자인 QA

    더보기

    · 프로덕트 스펙 문서(PRD) - 제품을 만들거나 개선할 때 사용하는 문서로 기능의 사양을 정의한 가이드

      1. 기획 배경 & 문제 정의 : 문제 발견 과정, 문제로 정의한 이유, 문제의 원인, 문제에 누가 영향을 받는지

      2. 솔루션 설명 : 페르소나, 사용자 시나리오, 기능별 주요 특징&요구사항, 예외 상황 및 Edge Case 정의, 최종시안

      3. 실험 설계 : 실험 가설, 실험 방식, 결과 평가, 실험 기간

      4. 예상 일정 : 프로덕트 스펙 초안 작성 완료, UXUI 디자인 최종 시안 제작 완료, 개발 분야별 예상 일정, 배포 목표 일정

         → 예상 일정 꼭 포함, 계속 업데이트 되어야 함!

      5. 디자인 공유 & 피드백 : 배경, 솔루션 의도, 필수 리뷰어, 참고 문서, 피드백 기한 등이 포함되면 좋음

    피드백 예시

     

    · 디자인 QA(Quality Assurance)- 제품이 출시되기 전에 기능을 테스트하는 것

         → 처음 기획대로 잘 구현이 되었는지, 회사에서 생각하는 품질 기준이 충족 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

         → 규모에 따라 별도로 QA팀이 있기도 하고, 제품팀에서 수행하기도 함

         → QA 팀이 있어도 기능을 만든 담당자는 직접 QA를 진행

     

    1. QA의 목적

    사용자가 제품을 이용할 수 없을 만큼의 치명적인 결함은 없는지 확인

    조직 전체에서 기대하는 수준의 품질이 갖춰졌는지 확인

    Product Spec 문서에서 작성했던 명세대로 잘 구현되었는지 확인

    특수한 상황에서 예상하지 못한 대로 동작하지는 않는지 확인

    전반적인 UX가 사용하기 편리한지 확인

     

    2. QA 문서

    체크리스트(CL) 예/아니요, 혹은 Pass/Fail로 답변할 수 있는 확인 성격의 항목을 나열한 목록
    기능이나 개선 범위가 넓지 않을 때 사용
    테스트 시나리오(TS) 기획한 기능이 모두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
    사용자가 기능을 사용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작성
    테스트 케이스(TC) 특정 조건에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여러가지 케이스를 작성한 문서
    특정 조건, 테스트 범위, 케이스, 기댓값, 테스트 환경 등을 상세하게 작성

     

    3. 디자인 QA에서 발견된 이슈 공유

    어디가 잘못되었는지 엔지니어가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작성

    잘못 개발된 화면과, 원래의 디자인 화면을 기획 의도와 함께 전달

    조직에 따라 다르지만 지라트렐로 같은 프로젝트 관리 툴을 사용한다면 관리하기 좋게 발견한 이슈를 업무 티켓 형태로 전달하는 것을 추천

    이슈 공유 업무 티켓 예시

     

    ④ 협업하는 직군 이해

    PM(Product Manager) 프로덕트 매니저는 제품의 전략을 세우고, 우선순위를 결정해 실행하는 사람
    PO(Product Owner) 제품에 대한 오너십을 갖고 제품이 시장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사람
    프론트엔드 엔지니어 앱/웹의 페이지, 화면 안의 각종 컴포넌트 즉, UI를 코드로 구현
    화면 간의 이동, 컴포넌트의 모션, 사용자의 인풋에 따른 반응까지 구현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경험을 만드는 UX와도 깊게 관련
    백엔드 엔지니어(서버 엔지니어) 제품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송하고, 관리하는 영역
    QA 엔지니어 QA 테스트를 계획, 진행하고 제품 전반적인 품질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사람
    데이터 애널리스트 데이터베이스에서 SQL 같은 언어를 사용해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파이썬 등을 활용해 여러 방면으로 분석
    데이터를 보기 좋은 형태로 가공하고 시각화
    BX 디자이너( Brand eXperience) 브랜드 경험과 관련된 전반적인 디자인을 하는 사람
    (로고, 심볼, 앱/웹 내 그래픽, 대외 이미지, 각종 인쇄물 등)
    UX writer 제품 내의 문구를 담당
    브랜드의 보이스앤톤을 문구로 전달하고, 명확한 메시지를 통해 제품의 사용성을 높이는 일

     

    ⑤ 실험 문화 - 제품의 개선이 실제로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으로 이어지는지 데이터로 검증하는 것.

         → 객관적인 의사결정 가능, 호불호가 데이터로 증명

         → 실험은 대부분 A/B 테스트로 진행, 특정한 상황에서는 전후 비교 테스트를 하기도 함.

    더보기

    · 전후 비교 테스트 - 실험 기간 전후로 지표가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비교해 보는 방법

    12월 1일에 실험이 시작되어 3주간 진행된다고 하면, 12월 1일 이전 3주의 데이터와 이후 3주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품 구매율이 달라졌는지를 보는 것.

     

    · A/B 테스트 - 두 가지 이상의 버전을 각각 다른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성과를 측정하는 실험

    사용자를 임의로 대조군(Control)과 실험군(Treatment), 두 집단으로 나누고 서로 다른 안을 보여준 다음 어느 집단이 더 좋은 지표를 보이는지 측정하여 평가

     

    [A/B 테스트 방법]

    1. 기존 화면은 대조군으로 정한다.

    2. 테스트하고 싶은 새로운 안을 실험군으로 정한다.

         → 이 때, 효과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변수는 1개로 제한한다.

     

    [참고하면 좋을 제품 분석 도구들]

     

    Amplitude | Product Analytics & Event Tracking Platform | Amplitude

    Run more tests with web experimentation and analytics in one platform. Move faster, optimize more experiences, and drive growth.

    amplitude.com

     

     

    Google Analytics  |  Google for Developers

    Google 애널리틱스를 사용하면 디지털 전략을 세부적으로 조정하고, 캠페인을 최적화하며, 온라인 인지도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developers.google.com

     

    [ UXUI입문 - 4주차 ]

     

     

     

     

    🫠 오늘의 회고

    온보딩 주차가 지나고 이번 주 부터는 디자인 입문 주차에 접어들었다.

    새로운 팀원 분들도 만났는데 캠도 열심히 키시고 아이스브레이킹도 먼저 나서서 해주셔서 의욕이 샘솟는 팀인 것 같다!

    2주차에는 원래 진행하던 강의 수강과 더불어 개인과제가 새로 발제 되었는데 UXUI 입문에서 나오는 이론들을 토대로 진행하는 과제 같아, 열심히 남은 강의들을 수강해야 할 수 있을 것 같다 하하.. 6주차까지 있는 강의 중에 오늘 4주차 강의까지 수강했는데 주차마다 있는 과제가 꽤 까다롭고 생각할 것도 많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2주차 과제까지만 진행하고, 나머지 강의를 전부 수강한 뒤 진행해야 할 것 같다.

    주말 2일을 쉬고, 내일부터는 또 설 연휴라 그런지 집중이 잘 되지 않는 날이었다. 계획한대로 강의는 전부 수강했지만 오늘 내로 진행하기로 했던 2주차 과제는 집중 이슈 + 어려움 문제로 아직 끝내지 못했다. 공휴일 날 틈틈히 진행하는 걸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