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카타

0214 오늘의 디자인 카타

zzilog 2025. 2. 14. 14:47

[A]

1. 사용자가 무엇을 입력해야 하는지 쉽게 이해 가능

2. 직접적인 지시로 행동 유도가 뚜렷함

3. 이미 필드 레이블이 존재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문구가 반복되어 효율성이 떨어짐

 

[B]

1. 입력 형식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입력값을 이해하고 오류 상황을 줄일 수 있음

2. 설명 문구 없이도 직관적으로 전달 가능

 

📌결론 : A vs B, 어떤 것이 더 좋을까?

✅ B선택

회원가입 플랫폼마다 요구하는 입력 값이 조금씩 다르다. (예 : 생년월일을 입력할 때 0000. 00. 00 을 요구하는 경우와 00. 00. 00을 요구하는 경우 등) 따라서, 앱에 맞는 힌트 텍스트를 예시 형태로 보여주는 방식이 사용자의 혼란을 줄이고 오류를 방지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여 B 방안을 선택했다.

만약, 제시해 준 회원가입의 상황이 아니라면 예를 들어, 배달 앱의 검색 창의 경우 “검색” 이라고 써 있는 것보다 “가게명, 음식명으로 찾아보세요” 등 A의 방안도 힌트 텍스트로써의 역할을 더 잘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