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 진행 상태를 대략적으로만 전달.
- 다운로드 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유추만 가능 → 사용자의 불안감을 유발할 가능성 존재
[B]
- 구글에서 조사한 지연시간이 길어질 수록 이탈률이 증가한다는 결과가 존재한다.
- 현재 다운로드 중인 파일 개수를 명확히 전달
- 사용자가 남은 진행 상황을 한 눈에 파악 가능 → 인내심 증가, 그로인한 심리적 안정감과 UX만족도 향상
- 마이크로소프트 UX 가이드를 살펴보면 예상 완료 시간 또는 진행 단계를 표시하는 것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인다고 강조함!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apps/design/controls/progress-controls
Guidelines for progress controls - Windows apps
A progress control provides feedback to the user that a long-running operation is underway.
learn.microsoft.com
추가적으로 로딩 인디케이터는 로딩 시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 1초 미만일 때: 아무것도 사용하지 않기
- 1초 이상~3초 미만일 때: 스피너
- 3초 이상일 때: 프로그레스 바
- 멈추어 있으면 안됨
'디자인 카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14 오늘의 디자인 카타 (0) | 2025.02.14 |
---|---|
0213 오늘의 디자인카타 (0) | 2025.02.13 |
0211 오늘의 디자인카타 (0) | 2025.02.11 |
0210 오늘의 디자인카타 (0) | 2025.02.10 |
0207 오늘의 디자인 카타 (0) | 2025.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