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23 오늘의 디자인 카타

     

    [A] CTA 버튼

    장점: 사용자가 스스로 작성한 정보에 대해 확인을 한 후 넘어갈 수 있어서 인지와 수정이 용이하다. 오타와 같은 정보의 오류성이 낮고 버튼 내의 라벨을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 사용자들의 고민을 해소, 클릭을 유도할 수 있다.

    단점: 직접 누른다는 1단계가 추가되기 때문에 진행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작성을 미완료 했을 때 버튼을 비 활성화한다던가 하는 추가적인 프로세스가 필요할 것 같다.

    [B] 자동 확인 및 섹션 이동

    장점: 사용자가 입력을 완료했을 때 자동으로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게 되어 추가적인 행동이 없어 스트레스를 줄이고 작업 속도가 빨라진다.

    단점: 정보를 잘못입력했다고 인지하더라도 수정이 어렵고 수정을 하기 위해 전 단계로 다시 돌아가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팀원 의견

    A(CTA) 버튼

    장점: 사용자가 옳은 정보를 입력하거나 틀린 정보를 입력했을 때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전 확실하게 한번 더 확인 가능하다.

    단점: 이미 옳은 정보를 입력했을 경우에도 자동으로 넘어가지 않고 버튼을 한번 더 눌러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 하기 때문에 불가피한 액션을 취한다고 인지될 수 있다.

    B(자동 확인 및 섹션 이동) 버튼

    장점: 올바른 정보를 입력 했을 때 별다른 액션 없이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단점: 로딩 시간이 걸릴 경우 사용자가 옳은 정보를 입력했는지 인지하기 어렵다. 별다른 확인 절차 없이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A는 사용자가 정보 입력이 완료했을 때 확인 버튼이 나오며 정보 입력을 모두 했을 때 확인 버튼이 나오기 때문에 잘못 입력할 때도 다시 수정을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직접 버튼을 누른다는 액션을 해야 하므로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B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는 방식인데 입력이 완료했을 때 따로 액션이 없으므로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하지만 실수했을 때는 처음부터 다시 입력해야 할

     

     

    A안

    장점: 자신의 의사대로 한 번 더 확인하는 절차가 있어 보다 정확한 정보 입력 확률이 증가함.

    단점: B안보다 속도가 느림.

    B안

    장점: 정보 입력 완료 **로 다른 화면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가입 속도를 개선하고 더 편리함을 제공함.

    단점: 잘못 입력했을 경우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 다시 입력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함

     

     

    A안: CTA 버튼

    장점: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입력 실수를 줄일 수 있다.

    단점: 확인 버튼을 눌러야 하므로 추가 작업이 발생한다.

    B안: 자동 확인 및 섹션 이동

    장점: 입력 후 자동으로 넘어가 UX가 간결해진다.

    단점: 잘못 입력했을 경우 되돌아가기 어렵고, 자동화가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팀원 종합의견

    A - 확인 버튼을 도입하면 정보 입력의 정확성과 사용자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으나, 속도나 효율성에서는 다소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안내 메시지를 통한 명확한 지침 제공이 필요하다.

    B - 자동으로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는 방식은 입력 과정의 간소화를 통해 사용자 편리성과 속도를 중요시하여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잘못된 입력 정보 수정의 어려움과 확인 절차의 부재는 주요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디자인 카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05 오늘의 디자인카타  (0) 2025.02.05
    0204 오늘의 디자인카타  (0) 2025.02.04
    0203 오늘의 디자인 카타  (0) 2025.02.03
    0124 오늘의 디자인 카타  (0) 2025.01.24
    0122 오늘의 디자인 카타  (0) 2025.01.22

    댓글